이차전지

환경 규제와 무공해 자동차

Boltenertec 2024. 10. 19. 11:11
반응형
SMALL

환경 규제, 친환경 자동차, 그리고 자동차 패권전쟁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와 도전 과제를 설명하며,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의 발전과 미래 전망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다. 

1. 환경 규제

2015년 파리 기후협약을 통해 시작된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각국의 2050년 탄소 중립 목표가 중심이다. 파리 협약 이후, 다양한 환경 규제가 강화되었고 자동차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무공해차 의무 판매 제도가 주요 규제로 작용하고 있다.

  • 미국에서는 2018년부터 무공해차 의무 판매 제도가 시작되었으며, 매년 2.5%씩 증가한다. 이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벌금 부과나 판매 금지 등의 제재가 따른다.
  • 중국에서는 2019년 10%, 2020년 12%로 무공해차 의무 판매 비율이 높아졌다. 이는 계속 강화되는 추세다.

 

유럽의 CO2 배출 규제도 강화되고 있으며, 2025년까지 80g/km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유럽과 미국, 중국은 각각 연비 규제 강화와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계획을 세우고 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는 202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할 계획이고, 독일영국도 2035년과 2040년을 목표로 판매 금지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규제 강화는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려는 목적이다. 각국은 전기차(EV), 수소전기차(FC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같은 무공해차에 대한 구매 지원과 판매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OEM)**들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종으로 라인업을 재편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볼보는 2019년부터 모든 차종에 전기모터를 장착하겠다고 했고, 폭스바겐은 2025년까지 전기차 80종 이상을 출시할 계획이다.

2. 친환경 자동차: 전기차 vs. 수소전기차

  • 전기차(EV)는 배터리를 충전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모터를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이다. 전기차의 성능은 배터리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며, 충전 시간과 주행 거리가 크게 좌우된다.
  • 수소전기차(FCEV)는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구동된다. 수소전기차는 긴 주행 거리와 짧은 충전 시간을 가진다. 상용차량(버스, 트럭)에서 경쟁력을 가진다.

두 차량의 에너지 변환 효율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전기차는 충전 후 바로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수소전기차는 수소를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시스템 복잡성과 비용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수소전기차는 짧은 충전 시간과 긴 주행 거리 덕분에 상용차에 적합하다.

3. 자동차 패권전쟁

자동차 산업에서 벌어지고 있는 패권 경쟁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큰 변곡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IRA는 미국 내에서 전기차 및 친환경차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법이다. 이 법은 해외에서 생산된 차량에 대해 제재를 가하고, 자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중국 기업들은 멕시코, 헝가리, 태국 등으로 생산 라인을 확장하고, 가격 인하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려 하고 있다.

  • CATL은 배터리 가격을 15% 인하했고, 고객사들이 3년간 80% 배터리 수요를 자사 제품으로 채운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 또한 중국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감산과 구조조정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EU영국은 미국의 IRA에 대응하는 정책을 준비 중이다. 특히 영국은 전기차 가격이 비싸다는 현실적 문제를 이유로 휘발유·경유차 판매 금지 시점을 2030년에서 2035년으로 연기했다. 정부는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호근 교수님의 발표는 친환경차 산업의 미래를 다루고 있다. 환경 규제 강화와 자동차 산업의 기술 변화, 그리고 글로벌 패권 경쟁을 설명하고 있다.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의 기술적 차이를 비교하며, 두 기술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있다. 각국의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산업 구조의 변화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앞으로의 자동차 산업은 환경 규제와 무공해차의 확산, 그리고 글로벌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