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2024/10/05 4

이차전지 소재 · 부품 및 장비전(K-BATTERY SHOW)

2025년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 (K-BATTERY SHOW 2025)은 4회를 맞이하며2025년 9월 10일(수)부터 9월 12일(금)까지 3일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개최됩니다. K-BATTERY SHOW 2025는 제3회 사용후 배터리를 활용한 글로벌 ESG 아이디어 경진대회 및관련 세미나와 컨퍼런스 등의 부대행사가 함께 개최되어 전시 시너지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양극소재, 음극소재, 분리막, 전해질 등 이차전지 대표 소재 외에 소형 이차전지, ESS전지, 모빌리티 전지 등중대형 이차전지를 비롯하여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인프라, 리사이클링 시스템과 차세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등을 전시하고 소개하여 바이어 및 참관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

산업동향 2024.10.05

알기 쉬운 이차전지소재 이야기 : 꿈의 배터리라 불리는 전고체전지의 미래

포스코그룹 대표 사업 분야의 동향을 전문가가 직접 알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4편에서는 차세대 배터리로 촉망받는 ‘전고체전지’에 대한 이슈를 포스코경영연구원 박재범 수석연구원과 함께 짚어봅니다. 최근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이온전지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전고체전지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포스코그룹도 차세대 전지 소재 시장 선점을 위해 전고체전지 풀 라인업 구축에 나섰는데요. 전고체전지를 중심으로 배터리 기술 현황과 시장의 미래를 살펴봅니다.전지는 크게 일차전지(Primary Battery)와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로 구분합니다. 일차전지는 한 번 사용하면 더 이상 충전이 불가능한 전지로, 건전지나 수은전지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에 비해 이차전지는 여러 번 충전해 사용할 수 있어 ..

산업동향 2024.10.05

차세대 이차전지로의 진화

State-of-the-art 이차전지, 리튬이온전지현재 리튬이온전지가 state-of-the-art 이차전지로 평가받으며 사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일본 소니社에 의해 1991년 최초로 상용화된 이후 핸드폰, 노트북 등 소형 모바일 IT 기기에 주로 사용되어 오다가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면서 시장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시장 예측기관마다 성장률에 대한 예측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기관이 공통적으로 CAGR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예측하고, 2025년경이 되면 메모리반도체 시장 규모를 능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한국은 리튬이온전지 시장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선전하고 있다. 약간 특수한 성격을 지닌 중국 시장을 제외한다면 시장점유율 1위를 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중..

산업동향 2024.10.05

“전고체 대량 양산 실현”…한화, '초고압 롤 프레스' 장비 개발 착수

2027년 이후 상용화 전망 속WIP 장비 대안…고밀도 압축고체 소재 안정성 유지 관건한화가 '꿈의 배터리'라고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핵심 공정 설비 개발에 나섰다. 2027년 이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전고체 배터리 제조 설비로, 개발 성공 시 전고체 배터리를 대량 양산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질 것으로 예상된다.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모멘텀은 연구개발(R&D)센터에서 롤 프레스 방식 전고체 배터리 고압 장비를 개발 중이다. 롤 프레스는 롤과 롤 사이에 극판을 넣고 일정한 두께로 압연, 전극을 고밀도로 압축하는 공정에서 활용되는 장비다.한화모멘텀 롤 프레스 장비. (이미지=한화모멘텀)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화재 위험성은 낮출 수 있는 제품이다. 안전성이 우수해..

산업동향 2024.10.0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