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
이차전지 장비 시장이 2035년까지 83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주로 중국이 세계 이차전지 장비의 58%를 공급받고 있지만, 유럽과 미국에서의 투자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향후 중국, 유럽, 미국 시장의 비중이 비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 장비 시장의 급성장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리튬이온배터리 장비 시장은 2023년 20조 5000억 원에서 2035년 83조 5000억 원으로 약 4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연간 설비투자 규모는 1GWh당 약 500억 원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장비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입니다.
2023년 294기가와트시(GWh)에서 2035년 1123GWh까지 증설될 예정인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와 전기차 시장의 확장이 맞물려 나타난 결과입니다.
주요 장비 시장의 구성
이차전지 장비 시장은 크게 전극, 조립, 화성 공정으로 나뉘며, 이 중에서도 코팅, 와인딩 및 스태킹, 충방전기 장비 시장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분석됩니다. 전극 공정은 특히 진입 장벽이 높아, 이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한국의 주요 기업들도 이차전지 장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화, 피엔티, 씨아이에스 등은 전극 공정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엠플러스와 하나기술은 조립 공정에서, 원익피앤이와 에이프로는 화성 공정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탈철 및 검사 공정에서는 대보마그네틱과 이노메트리 등이 주요 업체로 꼽힙니다. 이들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입지를 확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국 시장의 향후 변화
현재 중국은 이차전지 장비 시장에서 약 61%를 점유하고 있지만, SNE리서치는 향후 중국의 내수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고, 유럽과 미국 중심의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2035년에는 중국이 38%, 유럽이 31%, 미국이 26%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차전지 장비 시장은 향후 10년 이상 엄청난 성장을 기록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이 얼마나 경쟁력을 발휘할지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관련 업계에 관심이 있다면, 지금이야말로 미래를 대비할 때입니다.
'산업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캐즘 영향 SFA, 초유의 이차전지 장비 공급 중단 (3) | 2024.10.16 |
---|---|
전기차 캐즘에 '노스볼트' 자회사 파산...국내 장비업계 '비상' (2) | 2024.10.15 |
2024년 2차전지 산업의 주요 동향 (0) | 2024.10.09 |
Northvolt Subsidiary Files for Bankruptcy Amid Expansion Halt (0) | 2024.10.08 |
이차전지 소재 · 부품 및 장비전(K-BATTERY SHOW) (0) | 2024.10.05 |